성 김대건 안드레아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1821-1846 St. Andrew Kim Taegon)
김대건 안드레아(Andreas)는 1821년 8월 21일 충남 당진군 우강면 송산리 솔뫼 마을에서 아버지 김제준 이냐시오와 어머니 고 우르술라 사이에서 태어났다. 김대건의 아명은 재복(再福)이고 이름은 지식(芝植)이라고 하는데, 그의 집안은 열심한 구교 집안이다. 김대건의 증조부 김진후 비오(Pius)와 아버지는 순교로써 신앙을 증거한 순교자다. 신앙 깊은 순교자의 집안에서 성장한 김대건은 굳센 기질과 열심한 신덕으로 충실히 생활하던 중, 16세 때인 1836년에 모방 신부에 의해 최양업 토마스와 최방제 프란치스코와 함께 마카오로 유학가게 되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최 프란치스코는 병사하였으므로, 남은 두 신학생만이 훌륭히 학업과 성덕을 닦았으나 나이가 25세에 이르지 못하여 때가 오기를 기다렸다.
그 무렵 파리 외방 선교회가 조선 교구를 담당하여 주교와 신부를 조선에 입국시켜 전교하고 있는 중이었으나, 조선이 외국과 수호조약을 맺지 않아 종교자유가 없었음으로 프랑스 루이 필립 왕이 파견한 함대의 세실 제독이 그 계획을 실행하겠다고 나섰다. 김대건은 세실 제독의 통역관이 되어 조선이 들어갈 메스트르 이 신부와 함께 에리곤 호에 오르게 되었다. 그러나 세실 제독이 갑자기 조선 항해를 중지하게 되어 김대건은 혼자 육로로 본국에 들어갈 계획을 세웠다. 변문에 이르러 조선 사절단의 일원인 김 프란치스코를 만나 본국 소식을 자세히 듣게 되었는데, 성직자를 비롯하여 아버지와 많은 신자들이 순교하였다는 이야기를 듣고, 입국을 서둘러 그해 12월 29일 혼자 의주 변문을 거쳐 입국하였으나 중도에서 본색이 탄로날 위험이 생겨 다시 국경을 넘어 중국으로 돌아갔다.
그 후 김대건은 백가점(白家店)과 소팔가자(小八家子)에 머물며 메스트르 신부로부터 신학을 배우고, 1844년 12월 15일 페레올 고 주교로부터 부제품을 받고, 다시 입국을 시도하여 고 주교와 함께 변문으로 왔으나 김 부제 혼자만 1월 15일 서울에 도착하였다. 1845년 4월 주교와 신부를 맞이하기 위하여 상해에 갔다가 그 해 8월 17일 상해로부터 20리가량 떨어진 김가항(金家港)에서 페레올 고 주교 집전으로 신품을 받았고, 그곳의 만당(萬堂) 소신학교에서 첫 미사를 드림으로써 조선교회의 첫 사제가 되었다.
같은 달 31일 고 주교와 다블뤼 안 신부를 모시고 라파엘호라 명명한 작은 목선을 타고 상해를 출발하여 1845년 10월 12일에 충청도 나바위라는 조그마한 교우촌에 상륙하였다. 김 신부는 선교활동에 힘쓰는 한편 만주에서 기다리는 메스트르 이 신부를 입국시키려고 애썼으나, 의주 방면의 경비가 엄해서 고 주교는 바닷길을 알아보라고 지시함으로, 백령도 부근으로 갔다가 순위도에서 1846년 6월 5일 밤에 체포되었다.
체포된 김 신부가 황해 감사 김정집의 심문에서 자신은 조선에서 출생하여 마카오에서 공부했음을 토로하자 황해도 감사는 황에게 이 사실을 보고하였다. 그리하여 조정에서는 이 사건의 중대성을 인식하여 중신회의를 열고 서울 포청으로 압송케 하였다. 일부 대신들은 김 신부의 박학한 지식과 외국어 실력에 탄복하여 배교시켜 나라의 일꾼으로 쓰자고 하는 의견도 있고 해서 배교를 강요했으나, 김 신부는 도리어 관리들을 교화시키려고 하자 사학의 괴수라는 죄목을 붙여 사형을 선고하였다. 김 신부는 사제생활 1년 1개월만인 1846년 9월 16일에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이때 김 신부의 나이는 26세였다. 그는 1925년 7월 5일 교황 비오 11세(Pius XI)에 의해 시복되었고, 1984년 5월 6일 한국 천주교회 창설 200주년을 기해 방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시성되었다.
김대건 성인 연보
1821.8.21 충청도 솔뫼(충남 당진군 우강면 송산리)에서 김제준(이냐시오)과 고우르술라의 장남으로출생.
1836.4 경기도 용인의 ‘은이 공소’에서 모방 신부에게 세례를받은 뒤 신학생 후보로 선발.
1836. 12.3 앞서 신학생으로 선발된 최양업(토마), 최방제(프란치스코)와 함께 정하상(바오로), 조신철(가를로) 등의인도를 받아 변문으로 출발. 12.28 조선입국을 위해 요동에 머루르고 있던 샤스탕(Chastant,鄭)신부 댁에 도착.
1837.6.7 중국 대륙을 남하하여 마카오에 도착. 이후 파리 외방전교회 극동 대표부(대표;Libois신부)에서 칼레리(M.Callery)신부 등에게서 수학.
1837.8. 마카오 민란으로 인해 필리핀의 마닐라로 피신(1838년겨울 귀환)
1841.11 마카오 민란으로 인해 다시 마닐라로 피신(11월에 귀환)
1841.11. 최양업과 함께 철학 과정 이수, 신학 과정 입문.
1842.2.15 메스트를 신부와 함께 프랑스 함대 세실 함장의 에리곤호에 탑승하여 마카오를 출발
1842.10.26 요동의 백가점(白家店)도착. 최양업,메스트로 신부와함께 소팔가자(小八家子)로 감.
1842.12.27 조선교회의 밀사 김 프란치스코 상봉.
1842.12.29 변문 출발. 의주를 통해 조선에 귀국(1차 귀국)
1842.12,31 압록강을 다시 건너 중국측 변문으로 감.
1843.3. 변문으로 나가 조선교우와 접촉한 뒤 백가점으로 귀환 2차 탐색)
1843.4. 소팔가자로 거처를 옮겨 최양업과 같이 신학 공부.
1844.2.4 페레올 주교의 명으로 북방 입국로 탐색을 우해 훈춘으로 출발(4차 탐색)
1844.3.8 훈춘을 거쳐 조선에 귀국(2차 입국), 경원에서 조선교우 상봉.
1845.1.1 조선교우와 상봉하여 조선에 귀국(3차 입국)
1845.1.15 서울 도착. 돌우물골(석정동)에 유숙.
1845.4.30 선교사 영입을 위해 현석문(가를로)등 11명의 조선인교우들과 함께 제물포 출발(6,4 상해 도착)
1845.8.17 상해 금가항 성당에서 사제 서품.
1845.8.24 상해에서 약 30리 되는 만당 성당에서 첫 미사.
1845.8.31 페레올 주교,다블뤼 신부와 함께 라파엘(Raphael)호를타고 상해 출발.
1845.10.12 충남 강경 부근의 황산포 나바위에 도착.
1846.5.14서해해로를 통한 선교자 입국로를 개척하기 위해 주교의 지시를받고 교우들과함께 마포를출발.
1846.6.5 체포됨.
1846.6.9 해주 감영으로 압송.
1846.6,21 서울 포도청으로 이송.
1846.8,29 조선 교우들에게 보내는 마지막 회유문 작성.
1846.9.15 반역죄로 사형 선고를 받음.
1846.9,16 새남터에서 군문효수 형으로 순교.
1846.10.26 이민식(빈첸시오)에 의해 미리내에 안장됨.
1857.9.23 가경자로 선포됨.
1901.5.18 유해를 용산 예수성심신학교 성당으로 이장.
1925.7.5 시복됨.
1949.11.15 한국 성직자들의 대주보로 결정. 로마 교황청에서 7월 5일을 김대건 신부 축일로 정함.
1960.7.5 시복됨.
1984.5.6 시성됨.
- 592 views